3. 디렉토리의 사용
pwd
(print working directory): 내 위치를 파악하기- 많은 명령어가 현재 directory를 대상으로하기 때문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e.g.,
/users/live
- 가장 처음의
/
는 최상위 directory인 root를 의미한다.
- 가장 처음의
- 기본적으로 terminal을 열었을 때 위치하는 directory를 home directory라고 한다.
cd
(change directory): 이동cd /
: Root로 이동cd /users/live
: /users/live로 이동cd ~
: home directory로 이동
4. 현재 디렉토리의 상태보기와 명령어의 형식
ls
(list): 현재 directory의 파일과 directory 이름을 표시 (Read).더 자세한 사용방법을 알고 싶으면 검색하거나 설명서를 참고한다.
명령어 --help
: simple manual을 보여준다. (e.g.,ls --help
)man 명령어
: 해당 명령어의 manual을 보여준다. (e.g.,man ls
)q
를 눌러서 실행 화면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.
명령어 옵션
꼴로 명령을 자세하게 실행할 수 있다. 옵션 목록은 manaul 참고- e.g.,
ls -l
: list in long forman. File, directory 정보를 자세하게 출력한다.
- e.g.,
touch
: 빈 파일을 생성touch filename
꼴로 이용한다. (e.g.,touch helloworld.txt
)- 파일명 앞에
.
을 붙이면 숨김파일처리된다. (e.g.,touch .hidden.txt
) - 숨김 파일까지 보고 싶으면
-a
옵션을 함께 실행한다.
여러 옵션을 동시에 사용하고 싶으면
ls -a -l
처럼 연속해서 적어주거나ls -al
처럼 한번에 적어도 된다.
5. 디렉토리의 생로병사
mkdir
(make directory): 현재 directory에 새 directory를 생성한다 (Create).- e.g.,
mkdir posix
: posix directory를 생성한다.
- e.g.,
새로만든 directory로 이동하려면
cd directory-이름
를 입력한다.cd posix
는cd ./posix
와 같으며posix
앞의./
이 생략되어있다..
는 현재 directory를 의미한다../posix
는현재-directory/posix
와 같은 의미이다.
mv
(move): Directory의 위치나 이름을 변경한다 (Update).- e.g.,
mv dummy2 dummy
: dummy2 directory를 dummy로 rename. - 동일한 directory로 이동하니까 이름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.
- e.g.,
rm
(remove): Directory를 삭제한다 (Delete).- Directory를 제거하려면 그 안에있는 파일까지 전부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
-r
(recursive)옵션으로 실행해줘야한다. - e.g.,
rm -r dummy
: dummy directory와 그 안의 파일을 전부 삭제
- Directory를 제거하려면 그 안에있는 파일까지 전부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
2020.06.03 14:29 작성.
'공부를 합니다 > 에디터 (Editor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IX CLI1_7-8 File (0) | 2020.06.07 |
---|---|
POSIX CLI1_6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(0) | 2020.06.03 |
POSIX CLI1_1-2 실행환경 및 수업의 목적 (0) | 2020.06.03 |
[생활코딩] POSIX CLI1 (0) | 2020.06.03 |
VS Code_2.5 Settings (0) | 2020.03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