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디자인 구상
스킨의 기본적인 컨셉과 레이아웃을 잡아준 뒤 크기, 위치, 색상 등을 정해 컨텐츠를 배치해준다.
- 손으로 간단하게 스케치하거나 파워포인트, 포토샵 등을 이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만들어도 좋다.
- 이 스킨을 만들 때는 Adobe XD를 사용했다.
전체 레이아웃 및 컨셉
전체 레이아웃을 잡는다.
스킨 전체적으로 공유하는 헤더(Header), 메뉴(Menu), 사이드 바(Sidebar), 바디(Body), 푸터(Footer) 등의 존재 여부와 위치, 대락적인 부피를 정해주면 좋다.
- 레이아웃은 1단형, 왼쪽 위의 아이콘에 Side bar를 숨기는 형식
- 메뉴는 없애거나 sidebar 안으로 위치
- 헤더와 푸터는 최소화
- 헤더에는 사이드바 아이콘과 글제목
- 푸터에는 copyright정도만 표기
- 메인 글은 700px~1000px 사이
색상을 포함한 전체적인 컨셉을 잡아주면 이후에 세부적인 디자인을 하는데 큰 도움이된다. 스킨 구현 자체에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.
- 크래커 일러스트를 포인트로 활용한 깔끔한 블로그
- 색상은 기본적으로 흑백, 짙은 노란색의 포인트 컬러
컨텐츠 배치
각 페이지와 필요한 요소들을 배치한다.
- 티스토리 스킨가이드의 카테고리 분류와 치환자를 참고하면 필요한 페이지와 요소를 쉽게 파악 할 수 있다.
티스토리 스킨가이드를 참고하여 디자인 해야하는 페이지를 나누고 필요한 요소(치환자)를 각 페이지에 맞춰 나눈다.
계획한 레이아웃에 따라 기본 레이아웃 구성을 먼저 한 뒤 필요한 페이지에 적용해준다.
- Header와 footer, 페이지 title을 basic layout 페이지에 먼저 만든 뒤
- 다른 페이지에 붙여넣은 후 알맞게 수정
elements를 HTML과 CSS로 구현할 때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면서 작업했다.
- HTML의 element가 tree 형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룹을 미리 잘 지정해줬다.
- Elements의 이름, 크기, 부피, 색상 등을 기록해뒀다.
프로그램상에 이런 요소들을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공하는 기능과 직접 표기를 적절히 섞어서 하면 좋을 것 같다.
- XD에서는 elements의 위치, 크기, 색상 등은 확인이 쉽기 때문에 group된 element의 간격이나 정렬, elements 이름 정도만 꼼꼼히 지정해줬다.
예를 들어 카테고리 이름 등을 적을 상단 부분의 요소(Heading)를 보면
- 노란 박스 안의 두 이미지는 XD의 편집창의 일부로
- 왼쪽은 현재 페이지에 존재하는 elements를, 오른쪽은 선택한 element의 크기와 위치를 표시해주는 창이다.
- 전체 부피를 보여줄 수 있는 layer를 만들어 BG라고 이름 붙였다. 크기와 위치는 프로그램에서 바로 표시해준다.
- 카테고리 이름 등이 될 Title은 cracker 일러스트와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element를 title로 group 해주었다 (위치 지정에 용이).
- 두 element 사이의 간격도 편집할 때 일정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별도의 박스를 만들어두었다.
티스토리 스킨가이드의 각 요소 치환자를 참고하여 페이지를 구성했다.
- 기본적인 요소 (메뉴 아이콘, 본문 구성요소 등)은 스킨 가이드에 없는 경우가 많았다. 다른 블로그를 참고해서 목록화 한 뒤 작성했다.
- '글' 페이지의 공감, 공유버튼 등의 치환자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아마 글 치환자에 포함되어 있는 것 같다. 역시나 요소를 목록화해서 작성했다.
- 티스토리 리뉴얼 이전 요소의 치환자가 현재 스킨가이드에 없는 것들도 있었는데 실제로 치환자 자체를 없앤건지 사용 빈도가 적어서 스킨가이드에만 표기하지 않은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. 이후에 코딩하면서 확인해 볼 예정.
- 스킨가이드 목록에 있는데 사용하지 않을 요소들은 가장 왼쪽에 몰아서 표기했다.
일차적으로 마무리한 데스크톱 스킨 최종디자인
- 대부분이 글 위주의 공부 정보글이라 지금 나한테 가장 팔요한 요소 위주로 간략히 만들었다.
-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요소는 6-70% 정도 이용하고 있는 것 같다.
- 특히 최근 댓글, 방문자수, 구독 버튼 등 방문자와의 교류를 보여주는 항목을 대부분 생략했다.
- 우선 이 정도를 먼저 제작하고 앞으로 사용하면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.
- 본문의 TOP 버튼, TOC, 첨자 표기
- '홈' 페이지의 Cover 다양화: Gallery list, Slider 등
- 남은 티스토리 제공 요소
참고
- 파워포인트로 티스토리 스킨을 만들어보자 by DevLogs & Everything
- 티스토리 스킨 디자인 구상하기 by Kurien's Blog
'프로젝트를 합니다 > 티스토리 스킨 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첫번째_7 헤더 (0) | 2020.10.11 |
---|---|
첫번째_4 스킨 정보 파일 (0) | 2020.10.10 |
첫번째_3 공통 부분 (0) | 2020.07.28 |
첫번째_2 티스토리 파일 구조 (0) | 2020.06.01 |
첫 티스토리 스킨 만들기 (1) | 2020.03.14 |